공부105 [GMTK] How To Combine Video Game Genres | 비디오 게임의 장르를 결합시키기 리뷰 들어가며: 2008년에 게임 디자이너인 데릭 유는 차기작으로 어떤 게임을 제작해야 할지 결정하지 못하고 있었다. 아마도 플랫포머 게임을 제작하려 했는데, 프로토타입을 만들어봤더니 만족스럽지 않았을 거다. 그래서 이번에는 로그라이크 게임을 제작하려 했다. 이는 무작위로 생성되는 레벨을 탑다운 시점에서 탐험하는 게임이었지만, 이것 역시 마찬가지로 만족스럽지 않았다. 그가 제작한 프로토타입들은 그가 존경하는 다른 장르들과 비교했을 때 새로운 점이 전혀 없었다. 그러나 그 때, 그의 머릿속에서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올랐다. "플랫포머 게임에 탄탄한 점프와 짧은 실시간 전투를 넣어보면 어떨까? 그리고 로그라이크처럼 무작위로 생성되는 레벨과 위험한 영원한 죽음을 추가하면 어떨까?" 그렇게 "스펠렁키"라는 게임이 탄생.. 2024. 1. 22. [GMTK] Are Lives Outdated Game Design? | 목숨 시스템은 구형 게임 디자인인가? 리뷰 들어가며: “어 게임에 목숨이 있는게 당연하지 않나?” 라고 영상을 보기 전에 생각이 들었는데 찬찬히 생각해보면 요즘 게임들은 다르다. 목숨없이 그 스테이지를 다시 깰때까지 반복시키는 스타일(ex. 카타나제로) 고전적으로 목숨을 가지고 플레이하는 마리오같은 게임도 마리오 오딧세이에서는 최초로 목숨을 없애고 죽으면 코인만 감소되게 바뀌는 등 요즘 게임들에서는 목숨을 사용하는 게임들이 많이 줄어들었다. 그럼 과연 목숨 시스템은 오래된 아케이드 게임이나 고전 게임들에만 맞는 구형 게임 디자인일까? 이번 GMTK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c2CLO8CcBjg 내용: 목숨 시스템이란? 게임을 플레이 해본 사람들이라면 다 알듯이 목숨은 플레이어가 도전할 수 있는 횟수를 결정한다.. 2024. 1. 19. 게임기획을 독학하는방법 (feat. 학원안다니고 취업하기) https://www.youtube.com/watch?v=qKsNfic-wFs 2024. 1. 19. [GMTK] Making Hitman 2's Best Level 리뷰 들어가며: 게임을 직접 개발해나가다 보면 게임을 플레이할때는 느끼지 못했던 디테일이나 당연시 생각했던 요소들이 많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그중 하나가 맵 디자인이다. 그래도 어느정도 맵 디자인 하는 것이 중요하구나 그정도만 알고 있었지만 사소한 장애물 하나로 유저의 시야를 돌리면서 플레이하는 스타일을 크게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요즘 다시금 배우고 있다. 오늘 다뤄볼 내용도 이와 관련이 있는데 “히트맨 2”에서 잘 만든 레벨 디자인의 사례를 분석하면서 잘 설계된 레벨디자인이란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 배우게 된다. 히트맨 시리즈는 잠입 액션 게임으로 암살자, 에이전트 47로 플레이해서 지정된 타겟을 암살하고 그 뒤 탈출을 하는 여러 스테이지로 구성된 게임이다. 히트맨 시리즈의 주요 특징은 잠입 방법이나 암살 .. 2024. 1. 18. Chat GPT를 통한 정보보호 아이디어 제안: Proposer information protection ideas through Chat GPT 1. 서론 22년 11월 혜성처럼 등장한 ChatGPT는 시작부터 지금까지도 컴퓨터 분야나 공학 분야를 막론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많은 사람이 챗GPT를 각자의 방식대로 사용해 보고 경험을 공유하느라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 그와 함께 이 강력한 도구에 대한 진짜 문제에 대해서도 많이 논의와 우려도 나오고 있다. ChatGPT 혹은 생성형 AI나 대형 언어 모델(LLM)라고도 불리는 이 도구가 무기로 사용될 때 어떤 식으로 바뀔지 아직 정확히 모른다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보안 전문 기업 카스퍼스키(Kaspersky)는 ChatGPT를 사이버 범죄자와 보안담당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창과 방패의 대결’에 비유했다. ChatGPT를 이용한 멀웨어 생성·분석, 취약점 확.. 2023. 12. 12. 모바일 프로그래밍 기획서 - 빈대 지도 프로젝트 명: 빈대 지도 프로젝트 개요: 빈대가 발견된 위치를 지도에 표시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하고 효과적인 빈대 퇴치 방법과 예방법에 대해서 알 수 있는 앱을 만든다. 프로젝트 목표: 사용자들에게 현재 빈대가 발견된 위치를 파악하고 이에 대해 대비할 수 있도록 해서 빈대 확산을 방지하는데 기여한다. 프로젝트 배경: - 빈대, 부산도 뚫렸다…일주일 새 전국 68곳서 확인 | 뉴스A https://www.youtube.com/watch?v=nqX47c2cQ8g - "집에 빈대 나오면 이렇게 퇴치"…효과적인 방법은? / SBS / 뉴스딱 https://www.youtube.com/watch?v=c9gHwVSQ5HE 최근에 빈대 때문에 전국이 떠들석하다. 지난달부터 빈대 목격담이 온라인 커뮤니티를 달궜다. 찜.. 2023. 11. 24. 게임과 인문학 중간고사, 질문과 답 게임과 인문학 중간고사로 교수님께서 만드신 게더타운에서 질문들을 찾아 이에대한 답을 하는 것이었는데, 평상시에도 이러한 게임에 대한 고민이나 생각을 해본적도 있고 더 해보면 좋을 질문들도 많아서 중간고사인데도 즐겁게 써내려간 것 같다. Q1.게임체험 속에서 프레이밍(강요된 시점) 밖으로 재현(렌더링)되는 사물이 주는 감각에 대해 논해보시오. 게임 체험에서 프레이밍(강요된 시점) 밖으로 재현(렌더링)되는 사물들은 게임 내에서 예상치 못한 상황이나 비정상적인 요소로써 플레이어의 경험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첫번째 효과로는 플레이어에게 게임 세계가 살아있음을 느끼게 하는 가장 큰 요소입니다. 예를 들어, "젤다의 전설: Breath of the Wild"와 "젤다의 전설: Tears of K.. 2023. 11. 10. Chat GPT와 컴퓨터 보안: 도구인가 위협인가? 1. 서론 22년 11월 혜성처럼 등장한 ChatGPT는 시작부터 지금까지도 컴퓨터 분야나 공학 분야를 막론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많은 사람이 챗GPT를 각자의 방식대로 사용해 보고 경험을 공유하느라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 그와 함께 이 강력한 도구에 대한 진짜 문제에 대해서도 많이 논의와 우려도 나오고 있다. ChatGPT 혹은 생성형 AI나 대형 언어 모델(LLM)라고도 불리는 이 도구가 무기로 사용될 때 어떤 식으로 바뀔지 아직 정확히 모른다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보안 전문 기업 카스퍼스키(Kaspersky)는 ChatGPT를 사이버 범죄자와 보안담당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창과 방패의 대결’에 비유했다. ChatGPT를 이용한 멀웨어 생성·분석, 취약점 확.. 2023. 10. 31. Dolly Zoom 이란? https://www.youtube.com/watch?v=u5JBlwlnJX0 2023. 10. 4. 이전 1 ··· 3 4 5 6 7 8 9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