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게임 기획,디자인

게임 기획자 지망생 모의면접 후기 및 부족한점

by Excidus 2025. 2. 10.

약 두달간의 게임기획자 스터디를 진행하고 마지막 모의면접을 진행하였다.

모의 면접때 녹음한 내용을 바탕으로 부족한 점과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정리해두었다.

부족한 점

  1. 기획 문서 작성 능력 부족
    • 문서의 가독성이 떨어지고, 문장이 명확하지 않음.
    • 개발자와 아트 팀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적 자료(다이어그램, 플로우 차트, UI 목업 등)를 추가할 필요가 있음.
    • 예외 처리에 대한 서술이 부족하여, 실제 개발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
  2. 구체적인 사례 및 근거 부족
    • 게임의 완성도를 비교할 때, "밸런싱이 더 잘되었다"는 주장을 했으나,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구체적인 데이터(예: 플레이타임, 리텐션 데이터, 난이도 조정 방식 등)가 부족함.
    • 본인의 강점을 설명할 때, 실무 경험과 개발자와의 소통이 원활하다는 점을 강조했지만, 실제 사례를 들어 뒷받침하지 않음.
  3. 긴장으로 인해 답변이 매끄럽지 않음
    • 질문을 받았을 때 한 박자 쉬거나, 생각을 정리한 후 답변하는 연습이 필요.
    • 면접 중간에 말을 반복하거나, 핵심을 놓치는 부분이 있었음.

보완 방법 및 공부법

  1. 기획 문서 작성 능력 강화
    • 실제 기획 문서를 분석
      • 넥슨 공채나 게임 기획 포트폴리오 사례를 찾아보고, 업계 표준에 맞춰 문서를 개선.
      • 가능한 한 현직자의 피드백을 받아서 문서를 다듬는 연습.
    • 플로우 차트, 다이어그램 활용 연습
      • 복잡한 게임 시스템(예: 블루 아카이브의 스킬 코스트 시스템)을 플로우 차트로 정리해보는 연습.
      • Figma, Lucidchart 같은 툴을 활용하여 시각적으로 명확한 기획안 작성.
    • 기획 문서 스터디 참여
      • 오픈 커뮤니티(예: 네이버 게임 기획자 카페, 디스코드 스터디 그룹 등)에서 현직자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스터디 참여.
  2. 논리적 사고력과 구체적 사례 적용
    • 게임 밸런싱을 수치적으로 분석하는 연습
      • 던전주막과 세일링 아일랜드의 밸런스 차이를 설명할 때, 공격력/체력/성장 곡선 등의 수치를 비교해서 근거를 제시하도록 연습.
      • 블루 아카이브의 캐릭터 성장 곡선과 비교해보며 분석하는 것도 좋은 연습.
    • 피드백을 반영한 기획 개선 연습
      • 이전에 받은 피드백을 정리하고, 이를 실제 기획서에 반영하는 방식으로 발전시키기.
  3. 면접 대응력 향상
    • 녹음 후 피드백
      • 본인의 모의 면접 영상을 녹화하고, 스스로 보면서 개선할 부분을 체크.
    • 키워드 중심 답변 연습
      • "문서 작성 시 부족한 점 3가지" 같은 질문을 받을 경우,
        ① 가독성 ② 시각적 자료 부족 ③ 예외 처리 미흡
        → 이렇게 키워드를 미리 정하고 짧고 명확하게 답변하는 연습.
    • 현직자와의 추가 모의 면접 진행
      • 면접 경험이 많은 기획자 선배에게 피드백을 받고 개선하는 과정 필요